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리눅스 명령어 2

[Linux] df, du 명령어 사용법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 디스크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df, du 명령을 자주 사용합니다. df 명령어 사용법 디스크 여유 공간 확인하는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디스크 크기, 사용량, 여유공간, 사용률, 마운트 지점 순으로 나타납니다. 이렇게 보면 용량이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h 옵션을 사용하여 M/G/T 익숙한 단위로 보이게 됩니다. df가 디스크의 사용률을 확인하는 명령어라면, du는 디렉터리의 사용률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df 명령어와 똑같이 G/M/T 단위로 확인하기 위해 -h 옵션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h 옵션을 사용하여 M/G/T 익숙한 단위로 보이게 됩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du, df 명령어의 차이점을 알아봤습니다.

Server/Linux 2022.05.09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리눅스 명령어

*윈도우의 ipconfig 명령어와 같이 리눅스에서 ip address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답: ifconfig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찾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답 : find *리눅스에서 현재설치된 하드디스크 용량확인하는 명령어? 답 : df *리눅스에서 현재위치를 확인하고싶을 때 사용 명령어? 답 : pwd *리눅스에서 도움말-메뉴얼을 확인하는 명령어? 또는 특정 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보는 것? 답 : man *리눅스에서 포트/프로토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답 : etc/ services *리눅스에서 CPU메모리 사용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답 : top *네트워크의 연결상태와 라우팅 테이블정보가있는 dos창이 나오는 문제일 경우 이것과 관련된 명령어 답 : netstat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