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Debian 5

[Debian]_NFS

오늘은 NFS 서비스를 진행해보겠습니다. # apt-get install -y nfs-kernel-server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합시다. 공유할 폴더를 만들고 권한 설정을 해줍니다. #vi /etc/exports 로 11번줄 내용을 추가해줍니다. 호스트 IP를 입력했습니다. 서비스 재시작을 해주고 status로 상태를 확인해줍니다. 이제 그럼 윈도우에서 접속해보겠습니다. Debian은 NAT로 설정되어있어 IP가 192.168.116.132 입니다. 윈도우 + r 실행창에서 \\192.168.116.132\home\nfs를 입력합니다. 접속이 잘됩니다. 이제 리눅스에서 파일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이렇게 호스트 PC에서도 파일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NFS 서비스를 이용해서 파일을 ..

Server/Linux 2020.08.17

[Debian]_subCA

오늘은 저번에 만든 인증서를 가지고 subCA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일단 저번 시간에 만든 subCA.req , subCA.key 파일을 scp를 이용해 옮겨보겠습니다. #vi /etc/ssl/openssl.cnf 저번 시간에서 했던 작업을 디렉토리 이름만 바꿔 진행합니다. #vi /usr/lib/ssl/misc/CA.pl 수정 후 /usr/lib/ssl/misc/CA.pl -newca 명령어로 만들어줍니다. subCA.key 파일을 복사해주고 인증서를 발급하기위한 작업을 해줍니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는 subCA 구축을 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HTTPS 같은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Server/Linux 2020.08.14

[Debian]_DHCP

Linux DHCP 서비스 “apt-get install isc-dhcp-server”를 사용하여 DHCP 설정에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vi /etc/dhcp/dhcpd.conf" 명령어로 dhcpd.conf 파일의 #line7,8번째 줄 수정 DDNS를 사용하려면 #line17 수정 및 아래 내용 입력 "vi /etc/default/isc-dhcp-server" 접근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추가해주기 "ip a" 명령어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이 가능하다. "service isc-dhcp-server restart" 명령어로 서비스 재시작해주기 "service isc-dhcp-server status" 명령어로 서비스 상태 확인가능 CLIENT에서 DHCP설정 후 기다리면 자동으로 IP와 D..

Server/Linux 2020.04.29

[Debian]_정방향, 역방향 DNS

Linux DNS 서비스 “apt-get install bind9”를 사용하여 DNS 설정에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apt-get install dnsutils”를 사용하여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etc/bind/named.conf” 디렉토리에 접근하여 다음과 같이 11번 문장을 주석처리 후 아래 내용 입력 “cp /etc/bind/db.local /var/cache/bind/sunrin.com.zone” “cp /etc/bind/db.local /var/cache/bind/re.zone” 위에 명령어로 DNS설정이 사용할 파일을 복사한다. “/var/cache/bind/sunrin.com.zone” 에 접근한다. localhost를 sunrin.com으로 수정..

Server/Linux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