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KT Cloud 3

[KT-CLOUD] 리눅스 서버 SSH(원격) 연결하기_윈도우 기준

저번에 만든 리눅스 서버에 이번에는 SSH를 연결해보는 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lsrbdmsco0409.tistory.com/353 [KT-CLOUD] 서버 생성하기 오늘은 KT-CLOUD에서 서버를 생성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KT Cloud 홈페이지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에 클라우드 콘솔로 로그인해주세요. cloud.kt.com KT Cloud DX Platform Digital Transform.. alsrbdmsco0409.tistory.com 저는 SSH Keypair를 만들었기 때문에 키를 이용해 연결해보겠습니다. 저는 윈도우 사용자이기 때문에 putty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

Cloud/KT 2021.03.16

[KT-CLOUD] 공인 IP생성하기

KT Cloud는 기본적으로 한 개의 공인 IP가 할당됩니다. 만약 여러 서버를 운영하고 여러개의 공인 IP가 필요하다면 추가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IP 생성하는 위치는 Server -> Networking 입니다. 1. IP 생성을 눌러주세요. 2. 위치 선택 및 요금제를 선택해주세요. 3. 생성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이렇게 IP가 추가로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IP를 만들었으니 새로 생성한 공인 IP와 서버를 연결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4. 새로 생성한 IP를 선택 후 Static NAT를 눌러주세요. 5. 연결할 서버를 선택 후 추가를 눌러 설정을 완료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성공했다는 메시지와 함께 해당 IP에 Static NAT부분에 연결한 서버가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loud/KT 2021.03.16

[KT-CLOUD] SSH Key Pair 만들기

오늘은 SSH Key Pair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이 키는 SSH 연결 시 사용하게 됩니다. 먼저 KT Cloud 콘솔 로그인을 해주세요. SSH Key Pair는 Server -> SSH Key Pair에 들어가시면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SSH Key Pair 생성을 눌러주세요. 위치를 선택하신 후 KEY이름을 지정 후 생성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KEY가 만들어지고 다운로드하게 되면 pem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pem파일은 SSH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잘 보관하시면 됩니다. KEY가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loud/KT 2021.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