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포트포워딩 6

[헤놀로지 6.1] FTP 설정하기

오늘은 헤놀로지의 FTP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로그인을 해주시고 제어판을 열어주세요. 1. 제어판을 열고 파일 서비스 - FTP - (FTP 서비스 활성화, FTP SSL/TLS 활성화) 체크 여기까지만 설정해도 FTP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FTP 21번 포트를 보안을 위해 다른 포트로 변경하겠습니다. 2. 포트 번호 변경하기 (안하셔도 무관합니다.) 일단 테스트를 위해 내부에서 FTP를 접속해보겠습니다. ftp://IP주소:2123 접속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TP를 설정했으니 외부에서도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은 저번 글에도 작성했으니 링크만 달아두겠습니다. alsrbdmsco0409.tistory.com/346 [ER-4] 포트포워딩..

장비/NAS 2021.04.05

[ER-4] 포트포워딩

오늘은 Edgerouter-4의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대시보드에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후 모습입니다. 그럼 위 사진에서 Firewall/NAT 부분을 눌러주세요. 그럼 위와 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희는 포트 포워딩을 하기 위해 위에 창에서 설정하겠습니다. 먼저 WAN 인터페이스와 LAN 인터페이스를 선택해주세요. (저의 경우 WAN - eth0 LAN - 나머지) 만약 포트 포워딩할 대상이 한 곳의 인터페이스에 있다면 나머지 인터페이스는 추가 안 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인터페이스 설정을 했다면 이제 Port forwarding rules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dd Rule를 눌러주세요. 첫 번째 칸부터 외부로 접속할 때 포트번호, 프로토콜(TCP, UDP, ..

장비/네트워크 2021.03.02

[Windows 10] 원격 데스크톱 외부에서 접속하기

오늘은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을 외부에서 접속해보겠습니다. 일단 가정에서 사용하는 공인 IP는 고정이 아닌 유동으로 자신도 모르게 바뀔 수 있습니다. (고정 IP라면 문제없습니다. 그래도 외부에서 공인 IP를 외우고 다니는 건 힘들겠죠?) 외부에서 아이피로 접속했는데 갑자기 안 되는 경우 황당하겠죠? 그래서 저는 iptime 공유기의 DDNS를 사용할 것입니다. DDNS를 사용하기 전에 어떤 기능인지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죠? https://alsrbdmsco0409.tistory.com/211 DDNS 란? DDNS : Dynamic DNS라고 말하며,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법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사이트, 기업, 기관의 홈페이지들은 기관 또는 기업에서 소유하고있는 고정IP를 통해서 ..

OS/Windows 10 2020.09.02

[IPTIME] 포트포워딩

포트 포워딩에 대한 설명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https://alsrbdmsco0409.tistory.com/220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이란? 공유기를 사용하면 한 번씩은 들어보고 검색해봤을 만한 단어입니다. 우선 단어 그대로 해석 한다면 '포트를 전달해준다' 입니다. 어릴 때 서버에 관심이 있어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었을 때 alsrbdmsco0409.tistory.com 오늘은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해보겠습니다. 웹에서 192.168.0.1으로 접속하고 로그인해주세요. 포트 포워딩 설정 위치는 고급설정/NAT 라우터 관리/포트포워딩 설정에서 하시면 됩니다. 보안상 포트포워딩 설정을 지웠습니다. 자 위에 사진 하단을 보면 규칙 이름부터 설정할 수 있는 곳이..

장비/네트워크 2020.08.31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이란?

공유기를 사용하면 한 번씩은 들어보고 검색해봤을 만한 단어입니다. 우선 단어 그대로 해석한다면 '포트를 전달해준다'입니다. 어릴 때 서버에 관심이 있어서 마인크래프트 서버를 열었을 때 사용해보셨거나 검색해봤을 겁니다. 보통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이 외부 1014 -> 내부 22 포트로 포트 포워딩을 설정했다고 하면 외부 125.209.196.5:1024로 접속 시 내부 192.168.3.181:22번으로 접속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포트 번호에 대한 자료 https://alsrbdmsco0409.tistory.com/200 [네트워크] 포트번호란? 포트 번호란? 포트 번호는 컴퓨터 안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이다. 포트 번호는 0~65535 ..

[네트워크] 포트번호란?

포트 번호란? 포트 번호는 컴퓨터 안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이다. 포트 번호는 0~65535 까지 숫자로 범위에 따라 용도가 정해져 있다. 포트 번호는 세그먼트를 만들 때 헤더에 출발지 포트와 목적지 포트로 들어간다. 0~1023 :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라고 해서 웹 서버나 메일 서버 등 일반적인 서버 소프트웨어가 서비스 요청을 대기할 때 사용된다. 1024~49151 :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라고 해서 제조업체의 독자적인 서버 소프트웨어가 클라이언트 서비스 요 청을 대기할 때 사용된다. 49152~65535 : 동적 포트(dynamic port)로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대해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