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linux 5

[Ubuntu Server] Netplan 으로 고정 ip 설정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분투 서버에서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처음에 일반 우분투와 약간 설정하는 방법이 달라서 당황했습니다. 일단 저의 같은 경우 우분투 버전은 Ubuntu 18.045 LTS입니다. 네트워크를 설정하기 위해 편집해야 하는 파일은 /etc/netplan 안에 있습니다. vi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해당 파일은 편집기를 사용해서 열어주세요. 저의 경우 vi 편집기를 사용했고 각자 편한 편집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현재 DHCP를 사용 중이어서 위 사진과 같이 나오고 있습니다. 설정하는 법을 보여드리기 위해 고정 IP를 변경해보겠습니다. Config 방법은 위에 사진과 같습니다. 고정IP 설정 시 꼭 dhcp4: ..

Server/Linux 2021.07.28

[Ubuntu] kernel 업데이트하는 방법

오늘은 ubuntu 18.04 커널 업데이트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아래 명령어로 자신의 커널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name -r 이제 apt-cache 명령어로 설치할 커널을 찾아봅시다. apt-cache search linux-image-5.4 이 중에 설치할 커널을 선택 후 아래 apt 명령어로 설치해줍니다. apt-get install linux-image-5.4.0-73-generic y를 눌러 계속 진행합니다. 설치 완료 후 리부팅을 진행합니다. 그럼 이렇게 커널이 변경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원래 커널로 돌아가려면 부팅 시 grub에서 Advanced options for ubuntu에 들어갑니다. 그럼 이렇게 리스트가 나오는데 여기서 원래 버전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버전으로..

Server/Linux 2021.05.22

[Ubuntu] 부팅 시 Grub 화면 안보임(해결)

오늘은 우분투 18.04를 설치했는데 Grub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해결한 방법에 대해 남겨보려고 합니다. 먼저 grub 설정은 /etc/default/grub에 들어가면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GRUB_TIMEOUT=0으로 되어있어 10으로 바꾸고 reboot 하였지만 grub화면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두번째로 GRUB_GFXMODE=640x480가 주석을 해제 후 적용하였더니 정상적으로 grub 선택 화면이 나왔습니다. grub 설정 후 항상 update-grub 명령어로 적용시켜줘야 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grub 화면이 보이지 않을 때 해결방법을 남겨봤습니다.

Server/Linux 2021.05.22

[Debian]_subCA

오늘은 저번에 만든 인증서를 가지고 subCA를 구축해보겠습니다. 일단 저번 시간에 만든 subCA.req , subCA.key 파일을 scp를 이용해 옮겨보겠습니다. #vi /etc/ssl/openssl.cnf 저번 시간에서 했던 작업을 디렉토리 이름만 바꿔 진행합니다. #vi /usr/lib/ssl/misc/CA.pl 수정 후 /usr/lib/ssl/misc/CA.pl -newca 명령어로 만들어줍니다. subCA.key 파일을 복사해주고 인증서를 발급하기위한 작업을 해줍니다. 이렇게 이번 시간에는 subCA 구축을 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HTTPS 같은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Server/Linux 2020.08.14

[Debian]_DHCP

Linux DHCP 서비스 “apt-get install isc-dhcp-server”를 사용하여 DHCP 설정에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vi /etc/dhcp/dhcpd.conf" 명령어로 dhcpd.conf 파일의 #line7,8번째 줄 수정 DDNS를 사용하려면 #line17 수정 및 아래 내용 입력 "vi /etc/default/isc-dhcp-server" 접근 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추가해주기 "ip a" 명령어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이 가능하다. "service isc-dhcp-server restart" 명령어로 서비스 재시작해주기 "service isc-dhcp-server status" 명령어로 서비스 상태 확인가능 CLIENT에서 DHCP설정 후 기다리면 자동으로 IP와 D..

Server/Linux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