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vtp 3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란?

VLAN : 하나의 물리적인 스위치를 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스위치로 분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VLAN의 필요성 1. 네트워크와 관련된 많은 프로토콜이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한다. 2.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이 많으면 장비 및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된다. - VLAN이을 사용하면 필요한 포트에만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전송한다. -VLAN을 사용함으로써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분리하여 쓸모없는 브로드캐스트 데이터로 인해 네트워크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VLAN 구성 - 하나의 스위치 장비에 여러 개의 VLAN를 만들 수 있다. - N개의 VLAN으로 구성된 스위치는 마치 N개의 다른 스위치가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 VLAN은 여러 개의 스위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

VTP(VLAN Trunking Protocol) 란 ?

VTP(VLAN Trunking Protocol) : 스위치들이 가진 VLAN 정보를 트렁크 포트를 이용해 교환함으로써 VLAN 정보를 항상 일치시켜주기 위한 프로토콜 - 스위치들 간에 VLAN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 정보를 항상 일치시켜주는 프로토콜 - L2 스위치의 VLAN Trunk port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함 - 트렁크 포트를 이용하여 VLAN 정보 교환 VTP는 총 세가지세 가지 모드가 있는데 Server Transparent Client 모드로 총 세 가지가 있다. 서버 모드(Server Mode) : 모든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서버 모드로 동작한다. VLAN 생성, 수정, 삭제는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트랜스페어런트 모드(Transparen..

[Packet Tracer] VTP

VTP란 VLAN정보를 자동으로 주고 받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이다. VTP는 3가지 모드을 가지고 있다. 서버 모드(Server Mode) : 모든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서버 모드로 동작한다. VLAN 생성, 수정, 삭제는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트랜스페어런트 모드(Transparent Mode) : 서버로 부터 받은 정보를 자기 자신한테 반영하지 않고 이웃하는 스위치에 전달한다. 클라이언트 모드(Client Mode) : 서버로 부터 받은 VLAN정보만 반영, 직접 VLAN을 생성, 수정, 삭제를 할 수 없다. VTP는 version 1, 2, 3이 있다. 3은 현재 사용할 수 없고 2는 비활성화 되어있다. 또한 VTP는 스위치 사이에 Trunk모드가 설정되어 있어야한다. Trunk Mode 설정 S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