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는 플러딩 프레임을 받으면 다시 플러딩해야 한다. 결국 PC는자신이 보낸 데이터를 받게 되고 받은 프레임을 반복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루프가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STP가 사용된다. STP는 모든 스위치에 기본적으로 동작하도록 되어있다. 루프가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논리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목적지로 가는 경로를 하나로 줄여 이중화되었을때 문제를 해결해준다. 논리적으로 차단한 것은 프레임을 주고받지 않는다는 것이고 또한 원래경로가 문제가 생겼을때 해당 경로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도록 한다는 뜻이다. 위에 토폴로지를 보면 SW2에 Fa0/2가 황색인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통신을 할때는 SW3 -> SW1 -> SW2 순서로 통신이 된다. 이 토폴로지는 왜 하필 SW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