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NAS 18

[Synology] DS1821+ 구매 및 셋팅

이번에는 드디어 헤놀로지를 벗어난 시놀로지를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선택한 모델은 DS1821+로 8 BAY 제품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www.synology.com/ko-kr/products/DS1821+ DS1821+ | Synology Incorporated 지원되는 언어 English, Deutsch, Français, Italiano, Español, Dansk, Norsk, Svenska, Nederlands, Русский, Polski, Magyar, Português do Brasil, Português Europeu, Türkçe, Český, ภาษาไทย, 日本語, 한국어, 繁體中文, www.synology.com 포장은 아래 박스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장비/NAS 2021.05.08

[KT-CLOUD] NAS 스토리지 - 윈도우 서버 마운트_CIFS

이번에는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NAS를 윈도우 서버에 마운트 해보겠습니다. 1. 먼저 CIFS 방식으로 NAS 볼륨을 생성해줍니다. 2. 다음으로 CIFS Authentication에 들어가서 CIFS 계정 추가를 해줍니다. (ID, PW는 윈도우 서버 계정과 비밀번호와 똑같이 설정) 3. 마운트 할 윈도우 서버에 추가 사설 IP 설정에 눌러 들어가 주세요. 4. 들어가서 항목 선택 후 연결 클릭 그럼 윈도우 서버쪽에 추가 사설IP란에 IP가 추가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 서버로 가서 연결 설정을 해봅시다. 5. 내 파일 -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클릭 6. NAS 주소(\\IP\CIFS) 입력 및 마침 클릭 7. 연결된 모습 이렇게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NAS을 연결해봤..

Cloud/KT 2021.03.22

[KT-CLOUD] NAS 스토리지 - 윈도우 서버 마운트_NFS

NAS 스토리지를 만들어보고 윈도우서버에 마운트를 해보겠습니다. NAS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alsrbdmsco0409.tistory.com/233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란?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해서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하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클라우 alsrbdmsco0409.tistory.com 그럼 먼저 KT Cloud 콘솔에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번 글은 NAS와 윈도우 서버 마운트가 주 내용이니 설치는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먼저 윈도우 서버를 만들어줍니다. alsrbdmsco0409.t..

Cloud/KT 2021.03.22

SAN(Storage Area Networks)란?

SAN : Storage Area Network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 공통으로 사용되는 저장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각각의 컴퓨터에 저장소가 있을 때보다 여유 공간의 활용도가 높다. NAS가 중소규모에서 주로 사용된다면 SAN은 대규모 이상의 환경에서 주로 구성된다. SAN 환경은 저장 공간을 중앙에서 관리하여 총 각각의 서버에서 스토리지를 소유하고 있을 때 보다 활용도를 훨씬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AN 환경으로 구성하면 파이버 채널 스위치와 케이블(주로 광케이블)로 구성된다. 그래서 SAN 방식을 구현할 때는 하드웨어 측면에서도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새로 구축하려면 많은 비용이 든다. 장점 1. SAN은 저장 공간을 중앙에서 관리하게 되므로 여러 스토리지에 분산되어 있는 여유 공간을..

카테고리 없음 2020.09.01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란?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해서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하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소형화라고 보면 쉽다. NAS 장치는 일반적인 TCP/IP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네트워크 확장 작업 없이 기존에 사용하던 네트워크 환경에서 연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장점 1. 간편하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2. 저장장치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다. 3. 유지비가 저렴하다. 단점 1. USB나 외장하드같은 저장장치는 네트워크가 필요 없지만 NAS는 네트워크가 안되면 소용이 없다. 2. 대부분 개인용 NAS는 임베디드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낮은 성능으로..

[헤놀로지 6.1] NAS 방화벽 설정

헤놀로지 나스는 보안을 위해 admin 계정을 비활성화 시켜놨습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헤놀로지에 admin 계정을 로그인 시도를 하였습니다. 위와 같이 대략 1000번의 시도가 있었고 진행중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방화벽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로그인을 하고 제어판-보안-방화벽에 들어갑니다. 방화벽 프로파일을 눌러서 + 버튼을 눌러 프로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프로파일에서 대한민국 제외 차단을 선택해주고 규칙 편집을 눌러줍니다. 왼쪽 상단에 생성을 누르고 소스IP의 위치에서 KR를 검색한 후 남한을 선택해주고 허용해줍니다. 그리고 또 다시 생성을 누르고 포트 소스IP 모두 선택 후 거부를 합니다. 그럼 이렇게 대한민국만 허용하고 그 외는 차단이 됩니다. 이제 확인을 눌러주고 적용 시키면 됩니다. 활성..

장비/NAS 2020.08.19

[헤놀로지 6.1] 2.설치하기

오늘은 만든 헤놀로지 USB로 설치 해보겠습니다. USB를 데스크탑에 연결해줍니다. 그 후 BIOS에 Boot 메뉴에서 USB를 첫번째로 설정합니다. BIOS설정은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팅 한 모습입니다. 이제 인터넷을 켜서 find.synology.com 에 접속합니다. 만약 이 화면에서 찾을 수 없다면 저번 시간에 다운받은 파일 중 synology-assistant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IP주소를 기억해야 나중에 접속 할 수 있으니 기억해둡니다. 수동 설치를 선택하고 압축파일 안 DSM_DS3615xs_15284 넣고 설치를 합니다. 잠시만 기다리시면 설치가 완료되고 재부팅 후 설정 창이 생깁니다. 관리자 계정 생성을 합니다. 업데이트는 무조건 자동 설치 말고 수동 설치로 진행하세..

장비/NAS 2020.07.24

[헤놀로지 6.1] 1.USB 만들기

오늘은 헤놀로지 설치 USB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트파일은 Jun's Mod V1.02 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래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필요한 파일들을 받아줍니다. 암호는 1234 입니다. 헤놀로지 6.1 셋팅 파일 다운로드 우선 USB를 한개 준비합니다. 용량은 1기가도 가능합니다. 1. 우선 osfmount.exe를 설치합니다. 2. Mount new 선택 및 synboot.img 이미지 넣기 3. 파티션은 0으로 선택합니다. 4. Read-only 체크 해제 후 마운트를 합니다. 5. 마운트 된 디스크에 grub.cfg를 메모장으로 불러옵니다. 6. 이제 VPIDChk 안에 VPIDChk.exe 를 실행시켜 USB에 vid pid를 확인합니다. 7. 적어둔 vid, pid를 grub..

장비/NAS 2020.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