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cloud 7

[NCP] 리눅스 서버 접속 방법

안녕하세요 ~ 오늘은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리눅스 서버 접속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접속할 서버 선택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2. 비밀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인증키가 필요하므로 인증키(pem) 넣어줍니다. 3. pem키를 넣게 되면 해당 서버 비밀번호를 알려주게 됩니다. 4. putty로 접속을 하게 되면 login시 root / 방금 확인한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로그인 후 비밀번호로 변경하시면 다음 접속 시 쉽게 접근이 가능합니다.

Cloud/Naver 2022.01.04

[KT-CLOUD] 로드밸런서 실습하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로드밸런서 설정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로드밸런서가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alsrbdmsco0409.tistory.com/152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로드밸런서는 서버의 부하(로드)를 분산(밸런싱)해주는 기술을 말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위치하며, 한 대의 서버로 부하가 집중되지 않도록 트래픽을관리해 한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 alsrbdmsco0409.tistory.com 실습에 앞서서 먼저 웹서버 2개를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서버 제작 방법을 잊으신 분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alsrbdmsco0409.t..

Cloud/KT 2021.09.14

[AWS] AWS 사용되는 간단한 용어 정리

1. EC2 (Elastic Compute Cloud) = Server 용도 : 기본이 되는 가상서버이다. 2. VPC (Virtual Private Cloud) = Network 용도 : 폐쇄된 네트워크, VPC로 구축하고 서브네팅으로 나눠서 구성이 가능하다. 3. Security Group = 방화벽, Firewall 용도 : 인터넷에서 서버로의 접속을 차단, 허용하는 데 사용한다. 4. ELB (Elastic Load balancer) = 로드밸런서, L4 L7 용도 : 서버 이중화 및 트래픽 분산에 사용된다. 5. ROUTE53 = DNS 용도 :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GSLB 기능도 제공한다. 6. RDS(Mysql, Oracle)와 NoSQL = DB 7. S3 (Simple Stor..

Cloud/AWS 2021.09.05

[KT-CLOUD] NAS 스토리지 - 윈도우 서버 마운트_NFS

NAS 스토리지를 만들어보고 윈도우서버에 마운트를 해보겠습니다. NAS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alsrbdmsco0409.tistory.com/233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란?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해서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하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클라우 alsrbdmsco0409.tistory.com 그럼 먼저 KT Cloud 콘솔에 로그인을 해줍니다. 이번 글은 NAS와 윈도우 서버 마운트가 주 내용이니 설치는 이전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먼저 윈도우 서버를 만들어줍니다. alsrbdmsco0409.t..

Cloud/KT 2021.03.22

[KT-CLOUD] 서버 생성하기

오늘은 KT-CLOUD에서 서버를 생성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KT Cloud 홈페이지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에 클라우드 콘솔로 로그인해주세요. cloud.kt.com KT Cloud DX Platform Digital Transformation은 Cloud를 근간으로 한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하여, 기업의 전략부터 비즈니스 모델,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 시스템, 조직과 문화까지도 변화시키는 경영전략입니다. cloud.kt.com 로그인을 하셨다면 대시보드가 보일 겁니다. 이제 서버를 생성하기 위해 왼쪽 카테고리에서 Server - Server에 들어가 주세요. 저는 미리 만들어둔 서버가 있어서 리스트에 보입니다. 이 화면에서 서버 생성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제 서버 생성을 위해 위치,..

Cloud/KT 2021.03.16

[KT-CLOUD] 공인 IP생성하기

KT Cloud는 기본적으로 한 개의 공인 IP가 할당됩니다. 만약 여러 서버를 운영하고 여러개의 공인 IP가 필요하다면 추가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IP 생성하는 위치는 Server -> Networking 입니다. 1. IP 생성을 눌러주세요. 2. 위치 선택 및 요금제를 선택해주세요. 3. 생성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이렇게 IP가 추가로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IP를 만들었으니 새로 생성한 공인 IP와 서버를 연결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4. 새로 생성한 IP를 선택 후 Static NAT를 눌러주세요. 5. 연결할 서버를 선택 후 추가를 눌러 설정을 완료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성공했다는 메시지와 함께 해당 IP에 Static NAT부분에 연결한 서버가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Cloud/KT 2021.03.16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_(IAM)

오늘은 IAM 유저 생성을 해보겠습니다. AWS에 로그인 후 내 보안 자격 증명에 들어가 줍니다. 들어간 후 왼쪽 카테고리에서 사용자를 선택한 후 사용자 추가를 눌러줍니다. 사용자 이름을 작성 후 AWS Management Console 액세스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가 줍니다. 다음으로 넘어가면 그룹 생성하는 곳이 나오는데 그룹 생성을 눌러줍니다. 그룹 이름을 만들고 ‘AdministratorAccess’를 체크합니다. 관리자 권한을 해당 그룹에 부여하는 것입니다. 그룹 생성 버튼을 눌러줍니다. 이렇게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 : 태그를 눌러서 넘어가 주세요. 태그는 선택사항으로 필요하신 분은 설정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넘어가 주세요. 그럼 이렇게 검토 페이지가 보이면서 지금까지 설정을 한번..

Cloud/AWS 2021.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