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SEVER FACTORY

개인 공부 기록

synology 15

[Synology] 볼륨 간 패키지 이동하기 (PackageManager)

안녕하세요. 오늘은 볼륨 간 패키지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NAS가 8 베이인데 4 베이는 1TB SSD로 사용하고 있어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아 1TB SSD*4 - > 2TB SSD*2 개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이렇게 작업하기 위해서는 공유폴더와 패키지를 Volume1에서 Volume2로 가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1. MODS_PackageManager.spk 다운로드하기 2. PHP 7.2 설치하기 3. PackageManager 설치하기 https://github.com/vletroye/SynoPackages/tree/master/MODS%20Package%20Manager vletroye/SynoPackages Various Synolo..

장비/NAS 2021.07.05

[Synology] 인증서 발급 + 개인 도메인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개인 도메인에 https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서 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설정할 순서는 간단하게 아래와 같습니다. 1. 도메인 설정하기 (hositng.kr) 2. DMZ 설정하기 (iptime 공유기) 3. 인증서 발급하기 (Let's Encrypt) 일단 저는 hosting.kr 에서 도메인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어 hosting.kr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https://hosting.kr/ hosting.kr 설명에서는 구매한 도메인이 domain.com이라고 하겠습니다. 로그인 후 도메인 설정 중 레코드 설정을 들어갑니다. 저희는 A레코드와 CNAME레코드 설정을 해주겠습니다. 먼저 A레코드 한개를 생성해주고 레코드 / 값에다가 공인 IP를 넣어줍니다. 서브..

장비/NAS 2021.06.22

[Synology] Hyper-Backup 설정

이번에는 시놀로지의 백업 기능인 Hyper-Backup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러링 설정을 하면 공간 낭비가 심하게 되니 이번에는 증분 백업 설정을 하겠습니다. 먼저 Hyper-Backup 패키지가 없으신분은 패키지센터에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로컬 폴더 및 USB를 선택하겠습니다. 이제 백업할 공간과 만들어질 디렉토리 이름을 설정하는 곳이 나옵니다. 저 같은 경우 외장 디스크에 저장하겠습니다. 다음으로 백업할 폴더 선택하는 곳이 나오는데 보안상 폴더 이름은 지웠습니다. 선택 후 넘어가 주세요. 다음으로 넘어가시면 이제 백업할 패키지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선택 후 넘어가시면 됩니다. 여기서 이제 중요한 설정이 있는데... 일단 파일 변경 ..

장비/NAS 2021.05.26

[Synology] eSATA 포트 사용하기

저는 현재 Synology DS1821+ 나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스 뒤에는 esata 포트가 2개가 있는데 오늘은 이걸 사용해서 백업용 디스크를 연결해보겠습니다. https://alsrbdmsco0409.tistory.com/371 [Synology] DS1821+ 구매 및 셋팅 이번에는 드디어 헤놀로지를 벗어난 시놀로지를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선택한 모델은 DS1821+로 8 BAY 제품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www.synology.com/ko-kr/products/DS1821+ alsrbdmsco0409.tistory.com 저는 이번에 도킹스테이션을 이용해서 연결하였습니다. 제가 사용한 제품은 링크에서 봐주시면 됩니다. 이지넷유비쿼터스 넥스트 NEXT-644D..

장비/NAS 2021.05.26

[Synology] 도커 사용하기

오늘은 시놀로지 나스에 도커를 설치해서 사용해보겠습니다. 먼저 DSM에 로그인 후 패키지 센터에 가서 docker를 찾아 설치해주세요.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도커를 실행시켜봅시다. 이렇게 도커가 실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레지스트리 탭에 가봅니다. 여기서 레지스트리는 이미지를 공유하는 Docker hub 목록을 불러와 보여주는 창입니다. 레지스티리 탭에 왔다면 원하는 이미지를 검색 후 다운로드를 해줍니다. 이미지를 선택하였으면 이렇게 다운로드가 되는데 완료가 되면 이미지 선택 후 실행을 눌러줍니다. 이제 컨테이너 이름을 정하게 되는데 다른 컨테이너가 있다면 겹치지 않게 변경해주세요. 변경 후 고급 설정에 들어갑니다. 그럼 자동 재시작 활성화 버튼이 있는데 활성화해주시..

장비/NAS 2021.05.21